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하기/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6년 1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반응형

 

문제 바로가기


    01번 – 비상전원으로 자가발전설비나 비상전원수전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비상콘센트의 비상전원으로 자가발전설비나 비상전원수전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2가지를 작성하여라.
    문제 해설

    ①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는 경우
    ② 하나의 변전소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될 때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에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

    02  수신기 결선하기

    연면적 2500㎡인 지하 1층, 지상 3층의 건물에 설치하는 P형 5회로 수신기와 수동발신기, 경종, 표시등 사이를 결선하여라.
    문제 해설
     

    03 –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빈칸을 작성하여라.
    문제 해설
    1. 각 실마다 설치하되, 바닥 면적이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     )㎡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1. 각 실마다 설치하되, 바닥 면적이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2. 이웃하는 실내의 바닥 면적이 각각 (     )㎡ 미만이고, 벽체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 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      )개의 실로 본다. 2. 이웃하는 실내의 바닥 면적이 각각 (30)㎡ 미만이고, 벽체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 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1)개의 실로 본다.
    3.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 시 (     )는 제품검사에 합격한 것을 사용한다. 3.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 시 (2차 전지)는 제품검사에 합격한 것을 사용한다.

    04번 – 경계구역 구하기

    각 층의 높이가 4m인 지하 2층, 지상 4층 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을 설정하려고 할 때 아래 물음에 답하여라.
    * 층별 면적
     - 지상 4층 - 100㎡
     - 지상 3층 - 350㎡
     - 지상 2층 - 600㎡
     - 지상 1층 - 1020㎡
     - 지하 1층 - 1200㎡
     - 지하 2층 - 1800㎡
    문제 해설
    1. 층별 바닥 면적이 그림과 같을 경우 자동화재탐지설비 경계구역은 최소 몇 개로 구분하여야 하는지 산출식과 경계구역수를 작성하여라. 경계구역 산정시 계단, 경사로, 피크 등의 수직경계구역 면적을 제외한 층별 면적기준만 적용하여라.
    ① 지상 4층 : 
    ② 지상 3층 : 
    ③ 지상 2층 : 
    ④ 지상 1층 : 
    ⑤ 지하 1층 : 
    ⑥ 지하 2층 : 
    ⑦ 경계구역의 합 : 
    1. 
    ※ 500m2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경계 구역을 하나의 경계 구역으로 할 수 있다.
    ①, ② 지상 4, 3층 : (100+350) ÷ 500 = 0.9 → 1 경계구역
    ※ 하나의 경계 구역의 면적은 600m2 이하이어야 한다.
    ③ 600 ÷ 600 = 1 →  1 경계구역
    ④ 1020 ÷ 600 = 1.7 → 2 경계구역
    ⑤ 1200 ÷ 600 = 2 경계구역
    ⑥ 1800 ÷ 600 = 3 경계구역
    ⑦ 1+1+2+2+3 = 9 경계구역
    2. 해당 건물에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는 경우 P형 수신기는 몇 회로용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2.
    ※ 하나의 경계구역의 높이는 45m 이하이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 (4m × 6개층) ÷ 45 = 0.533 → 1경계구역
    ※ 2개층 이상의 지하층인 경우 지하층은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한다.
    계단 2회로(지하, 지상- 지상 45m 이하로 1회로)
    → 엘리베이터 1 + 계단 2 + 건물 경계구역 9 = 12회로
    ※ 수신기 회로수 : 5회로, 10회로, 15회로, 20회로

    05번  감지기 종류, 수량, 가닥수 구하기

    공장의 건축평면도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계하려고 할 때, 도면과 조건을 참고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도면 단위 : [㎜]
    * 조건
     -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 이내로 한다.
     - 바닥으로부터 천장의 높이는 10m이다.
     - 천장에서는 감지기 설치시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한다.
     - 벽은 1㎜ 두께의 철판의 양측 사이에 보온재를 채운다.
     - 공장 내와 방재실은 칸막이가 없고 감지기 설치도면을 작성할 때 축척은 무시하고 작성한다.
     - 방재실에 사용되는 감지기는 공장 내의 감지기와 연결한다.
     - 각 수동발신기세트에 연결되는 공장 내의 감지기는 같은 수로 한다.
     - 감지기는 연기감지기(2종)를 사용한다.
    문제 해설
    1. 본 소방대상물에는 연기감지기를 제외하고 어떤 감지기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 사용 가능한 감지기의 종류 2가지를 작성하여라.
    ① 
    ② 
    1.
    ① 불꽃감지기
    ②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2. 설치하여야 할 연기감지기의 개수를 구하여라. 2. 공장 : (14 × 60) ÷ 75 = 11.2 ⇒ 12개
    방재실 : (5 × 7) ÷ 75 ≒ 0.467 ⇒ 1개
    3. 건축평면도에 감지기를 그려라. 감지기와 감지기 간, 감지기와 발신기 간, 발신기세트 ①과 발신기세트 ② 사이, 발신기세트 ②와 수신기 사이의 전선가닥수도 표시하여라.

    06  전선가닥수,  감지기 저항, 정격전압 구하기

    건물 내부에 가압송수장치를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로 사용하는 옥내소화전함과 P형 발신기세트를 설치하였을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① ~ ⑨의 전선가닥수를 작성하여라.
    ① 
    ② 
    ③ 





    1. ① ~ ⑧의 전선가닥수를 작성하여라.
    ① 8 가닥 : 회로,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② 9 가닥 : 회로2,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③ 10 가닥 : 회로3,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9 가닥 : 회로2,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8 가닥 : 회로,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⑥ 13 가닥 : 회로6,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⑦ 8 가닥 : 회로,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⑧ 9 가닥 : 회로2,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⑨ 10 가닥 : 회로3,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 기동표시등2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 자동기동방식 : 기동표시등2 
    2. 감지기회로의 종단저항의 설치목적을 작성하여라. 2. 감지기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 3. 50Ω 이하이어야 한다.
    4. 수신기의 각 회로별 종단에 설치되는 감지기에 접속되는 배선의 전압은 감지기 정격전압의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4. 정격전압의 80% 이상이어야 한다.

    07 – 배선수와 배선내역 구하기

    전실제연설비의 계통도를 보고 사용전선의 배선수와 소요명세내역을 작성하여라. 모든 댐퍼는 모터구동방식이며, 배선은 운전조작상 최소전선수로 하고, 별도의 복구선은 없다.

    문제 해설
    ① 급기댐퍼 ↔ 연기감지기 ① 4 가닥 : (회로, 회로공통) × 2
    ② 배기댐퍼 ↔ 급기댐퍼 ② 4 가닥 : 전원(+),(-), 기동스위치, 배기댐퍼기동확인
    ③ 급기댐퍼 ↔ 배기댐퍼 ③ 7 가닥 : 전원(+),(-), 기동스위치, 배기댐퍼기동확인, 급기댐퍼기동확인, 감지기, 수동기동확인
    ④ 2 ZONE인 경우 ④ 12 가닥 : 전원(+),(-), 기동스위치2, 배기댐퍼기동확인2, 급기댐퍼기동확인2, 감지기2, 수동기동확인2

    ※ 전원(+),(-)를 제외한 나머지는 1가닥씩 추가한다.
    ⑤ MCC ↔ 수신반 ⑤ 5 가닥 : 공통, 기동, 정지, 전원표시등, 기동확인표시등

    08 – 감시전류, 동작전류 구하기

    P형 수신기와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 종단저항은 10kΩ, 릴레이저항은 750Ω, 배선회로의 저항은 50Ω, 회로전압이 DC 24V 일 때 아래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평상시 감시전류[㎃]를 구하여라. 1. ※ 회로전압 V [V], 종단저항 Re [Ω], 배선저항 Rl [Ω], 릴레이저항 Rr [Ω]
    2. 감지기가 동작할 때(화재시)의 전류[㎃]를 구하여라. 배선저항은 무시하고 구하도록 한다. 2. ※ 회로전압 V [V], 배선저항 Rl [Ω], 릴레이저항 Rr [Ω]

    09  블록다이어그램 완성하기

    스프링클러설비의 블록다이어그램의 구성요소 간의 배선을 연결하여 블록다이어그램을 완성하여라.
    문제 해설
     

    ▽ ▼ 2016년 1회 기출문제풀이 10~17번 보러 가기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6년 1회 기출문제풀이 (10~16번)

    문제 바로가기▽ ▼ 2016년 1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보러 가기 ▼ ▽[자격증 공부하기/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6년 1회 기출문제풀이 (1~9번)10번 – 감지기회로의 배

    ybgr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