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하기/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6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반응형

 

문제 바로가기


    01번 – 스프링클러설비 계통도, 가닥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회로계통도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계통도에 표시된 접점의 명칭을 작성하여라.
    2. 계통도에 표시한 □안에 들어갈 적당한 그림기호를 표시하여라.
    3. ① ~ ⑥ 의 전선의 최소 가닥수를 구하여라.
    ① 
    ② 
    ③ 
    ④ 
    ⑤ 
    ⑥ 
    ① 4가닥 : (회로, 회로공통) × 2  // 감지기 ↔ 감지기
    ② 8가닥 : (회로2, 회로공통2) × 2 // 감지기 ↔ SVP
    ③ 2가닥 : 사이렌2 // SVP ↔ 사이렌
    ④ 9가닥 : 전원(+),(-), 전화선, 사이렌, 감지기A,B, 압력스위치, 탬퍼스위치, 솔레노이드밸브 // SVP ↔ SVP
    ⑤ 15가닥 : 전원(+),(-), 전화선, (사이렌, 감지기A,B, 압력스위치, 탬퍼스위치, 솔레노이드밸브) × 2 // SVP ↔ SVP
    ⑥ 21가닥 : 전원(+),(-), 전화선, (사이렌, 감지기A,B, 압력스위치, 탬퍼스위치, 솔레노이드밸브) × 3 // SVP ↔ 수신기

    02  감지기 수고치에 따른 현상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3정수시험 중 접점수고(간격)시험시 수고치가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각각 나타나는 현상을 작성하여라.
    문제 해설
    1. 비정상적인 경우 1. 감지기 오동작 또는 지연동작
    2. 낮은 경우 2. 비화재보, 오동작 (감도가 예민하여 비화재보)
    3. 높은 경우 3. 실보, 지연동작 (감도가 둔하여 실보)

    03 – 물량 산출하기

    도면의 발신기세트는 수동으로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P형 발신기세트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발신기세트와 수신기 간의 배선길이가 15m인 경우 전선은 총 몇 m가 필요한지 산출하여라. 층고, 할증 및 여유율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1. 90m : 15m × 6가닥 = 90

    ※ 발신기 세트 ↔ 수신기 6가닥 : 회로, 회로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경종,표시등), 응답선
    2. 해당 건물에 설치된 감지기가 2종이고 천장의 높이는 5m인 경우 8개의 감지기가 최대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합계를 구하여라. 2. 75㎡ × 8 개 = 600㎡
    3. 감지기와 감지기 간, 감지기와 P형 발신기세트 간의 길이가 각각 10m인 경우 전선관 및 전선물량을 산출과정과 함께 쓰시오. (단, 층고, 할증 및 여유율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3.

    ※ 감지기 ↔ 감지기 2가닥 : 회로, 회로공통
    ※ 감지기 ↔ 발신기 4가닥 : 회로, 회로공통

    04번 – 공기관식 감지기 시험방법

    공기관식 감지기 시험방법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검출부의 시험공 또는 공기관의 한쪽 끝에 (     )를 접속하고 시험코크 등을 유통시험 위치에 맞춘 후 다른 끝에 (     )를 접속시킨다. 1. 검출부의 시험공 또는 공기관의 한쪽 끝에 (마노미터)를 접속하고 시험코크 등을 유통시험 위치에 맞춘 후 다른 끝에 (테스트펌프)를 접속시킨다.
    2. (     )로 공기를 주입하고 (     ) 수위를 눈금의 0점으로부터 100㎜ 상승시켜 수위를 정지시킨다. 2. (테스트펌프)로 공기를 주입하고 (마노미터) 수위를 눈금의 0점으로부터 100㎜ 상승시켜 수위를 정지시킨다. 
    3. 시험코크 등에 의해 송기구를 개방하여 상승수위의 1/2까지 내려가는 시간(     )을 측정한다. 3. 시험코크 등에 의해 송기구를 개방하여 상승수위의 1/2까지 내려가는 시간(유통시간)을 측정한다.

    05번  감지기 적응성

    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1 ․ 2종 모두 적응성이 있는 환경상태 5가지를 쓰시오.
    문제 해설
    ① 먼지 또는 미분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② 부식성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③ 배기가스가 다량으로 체류하고 있는 장소
    ④ 연기가 다량으로 유입할 우려가 있는 장소
    ⑤ 물방울이 발생하는 장소

    06  수직경계구역

    지하 3층 및 지상 14층이고 각 층의 높이가 3.3m인 소방대상물에 수직경계구역을 설정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건축단면도상에 표시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실과 계단실에 감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위치를 찾아 연기감지기의 그림기호를 이용하여 도면에 그려 넣으시오. 1.
    ※ 3.3m × 4개층 = 13.2m, 3.3m × 5개층 = 16.5m이므로 최상층부터 4개층마다 1개씩 설치한다.
    ※ 계단 및 경사로는 수직거리 15m마다 1개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종은 10m마다)
     
    2. 본 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직경계구역은 총 몇 개의 회로로 구분해야 하는지 아래 빈칸을 채워라.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 )회로 + 계단 ( )회로 = 합계 ( )회로
     2.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2회로 + 계단 3회로 = 합계 5회로
    *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2회로
    ※ 계단·경사로·엘리베이터 승강로·린넨슈트·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 지하층 계단실 1회로 + 지상층 계단실 2회로 : 계단 3.3m × 15개층 = 49.5m
    ※ 계단 및 경사로의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미터 이하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지하층의 층수가 1일 경우는 제외한다)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하여야 한다. 
    3. 연기가 멀리 이동해서 감지기에 도달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연기감지기의 종류 1가지를 작성하여라. ① 광전식 스포트형
    ② 광전식 분리형
    ③ 광전 아날로그식 스포트형
    ④ 광전 아날로그식 분리형

    07 – 논리식 및 스위칭 회로

    10개의 접점을 가진 스위칭회로의 접점수를 최소화하여 스위칭회로를 그려라.
    문제 해설
    1. 논리식을 이용하여 최소화하는 과정을 모두 기술하여라.
    2. 최소화한 스위칭회로를 그려라.

    08 – 축전지 용량 및 축전지 방전상태

    비상용 조명설비의 부하가 30W 120등, 60W 60등이 있다. 방전시간은 30분, 연축전지HS형 54셀, 허용최저전압 90V, 최저축전지온도 5℃이고 전압은 100V, 보수율은 0.8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용량환산시간계수

    문제 해설
    1. 필요한 축전지용량[Ah]을 구하여라. 1. ※ 축전지 용량 C [Ah], 보수율 L, 용량환산시간계수 K, 전류 I [A]


    ※ 표에서 용량환산시간계수를 구하기 위해서 셀당 전압을 구하면 1.7 [V/cell] : 90 ÷ 54 = 1.667
    2. 연축전지에서 CS형과 HS형은 어떤 방전상태로 구분되는가?
    ① CS형 :
    ② HS형 :
    2.
    ① 부하에 따라 일정한 방전전류를 가진다.
    ② 부하에 따라 방전전류가 급격히 변한다.​

    09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의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설치도면을 보고 물음에 답하여라.
    문제 해설
    1. 내화구조일 경우의 공기관 상호간의 거리와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거리는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지 도면에 작성하여라. 1. ※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1.5미터 이하가 되도록 하고, 공기관 상호간의 거리는 6미터(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9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공기관의 노출부분의 길이는 몇 m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2. 20m 이상
    ※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미터 이상이 되록 할 것 
    3. 종단저항을 발신기에 설치할 경우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검출기와 발신기 간에 연결해야 하는 전선의 가닥수를 구하여라. 3. 4가닥

    4. 검출부의 설치높이를 써라. 4.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
    ※ 검출부는 바닥으로부터 0.8미터 이상 1.5미터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5.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지 써라. 5. 100m 이하
    ※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미터 이하로 할 것 
    6. 공기관의 재질을 써라. 6. 중공동관 (가운데 공간이 있는 동관)
    (NFPC 203에 없음)
    7. 검출부의 경사도는 몇 도 이하이어야 하는지 써라. 7. 5도
    ※ 검출부는 5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203)]

    ▽ ▼ 2016년 4회 기출문제풀이 10~17번 보러 가기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6년 4회 기출문제풀이 (10~16번)

    문제 바로가기▽ ▼ 2016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보러 가기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6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문제 바로가기01번 – 스프링클러설비 계통도, 가닥수준비작동식 스프

    ybgr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