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용 바로가기
⭕️ 객석유도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2014년 2회)
① ② |
① 주간에만 사용하는 장소로서 채광이 충분한 객석 ② 거실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거실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20m 이하인 객석의 통로로서 그 통로에 통로유도등이 설치된 객석 |
⭕️ 객석유도등 수량 구하기 (2015년 1회)
길이가 50m인 통로에 객석유도등을 설치할 때 필요한 최소 수량 |
객석유도등 수량 = (객석 통로의 직선 부분의 길이 [m] ÷ 4) - 1 = (50 ÷ 4) - 1 = 11.5 → 12개 |
⭕️ 객석유도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2017년 4회)
① ② |
① 주간에만 사용하는 장소로서 채광이 충분한 객석 ② 거실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거실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20m 이하인 객석의 통로로서 그 통로에 통로유도등이 설치된 객석 |
⭕️ 객석유도등 설치 수량 구하기 (2018년 1회)
* 강당(길이 36m, 폭 15m)의 중앙 및 좌우 객석의 통로에 객석유도등 설치![]() 1. 강당에 설치하여야 하는 객석유도등의 수량 2. 1.에서 산출된 수량의 객석유도등을 도면 내에 ●로 표시하기 |
1. 객석유도등 설치 갯수 = (객석 통로의 직선부분 길이[m] ÷ 4) - 1 = (36 ÷ 4) -1 = 8개인데 3개의 통로이므로 8×3 = 총 24개 2. ![]() |
⭕️ 객석유도등 수량 구하기 (2018년 4회)
길이 20m의 통로에 객석유도등을 설치하려고 할 때 필요한 객석유도등의 수량 |
객석유도등 수량 = (객석 통로의 직선 부분의 길이 [m] ÷ 4) - 1 = (20 ÷ 4) - 1 = 4개 |
⭕️ 객석유도등 수량 구하기 (2020년 2회)
길이가 18m의 통로에 객석유도등을 설치하려고 할 때 필요한 객석유도등의 개수 |
객석유도등 수량 = (객석 통로의 직선 부분의 길이 [m] ÷ 4) - 1 = (18 ÷ 4) - 1 = 3.5 → 4개 |
⭕️ 객석유도등 수량 구하기 (2020년 4회)
길이가 50m의 통로에 객석유도등을 설치하려고 할 때 필요한 객석유도등의 개수 |
객석유도등 수량 = (객석 통로의 직선 부분의 길이 [m] ÷ 4) - 1 = (50 ÷ 4) - 1 = 11.5 → 12개 |
⭕️ 객석유도등 수량 (2022년 1회)
60m 길이의 통로에 객석유도등을 설치하려고 할 때 필요한 객석유도등의 수량 |
객석유도등 수량 = (객석 통로의 직선 부분의 길이 [m] ÷ 4) - 1 = (60 ÷ 4) - 1 = 14개 |
반응형
'자격증 공부하기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재탐지설비 - 중계기 (0) | 2025.04.18 |
---|---|
유도등 - 통로유도등 (0) | 2025.04.17 |
유도등 - 피난구 유도등 (0) | 2025.04.17 |
유도등 및 유도표지 (0) | 2025.04.17 |
시퀀스 회로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