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바로가기
▽ ▼ 2018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보러가기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문제 바로가기01번 – 비화재보 방지 대책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비화재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 4가지를 써라.문제해설① ② ③ ④ ①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를 설치한다. ② 주
ybgray.tistory.com
10번 – 복도통로유도등 설치기준
복도통로유도등의 설치기준 4가지를 써라. |
문제 | 해설 |
① ② ③ ④ |
① 복도에 설치하되 피난구유도등이 설치된 출입구의 맞은편 복도에는 입체형으로 설치하거나, 바닥에 설치할 것 ②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 m마다 설치할 것 ③ 바닥으로부터 높이 1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④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용도가 도매시장·소매시장·여객자동차터미널·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인 경우에는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해야 한다. ⑤ 바닥에 설치하는 통로유도등은 하중에 따라 파괴되지 않는 강도의 것으로 할 것 |
11번 – 농형 3상 유도전동기의 정,역전 정지제어 회로 완성하기
농형 3상 유도전동기의 정.역전 정지제어의 미완성 회로 도면과 동작조건을 참고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동작조건> * F-MC는 정전용 전자접촉기, R-MC는 역전용 전자접촉기이다. * GL램프는 정전용 표시램프, RL램프는 역전용 표시램프이다. * PBS-1은 a접점으로 정전용 누름버튼스위치, PBS-2는 a접점으로 역전용 누름버튼스위치, PBS-3은 b접점으로 정지용 누름버튼스위치이다. ① PBS-1을 ON하면 F-MC가 여자되어 전동기 IM이 정회전하며, GL이 점등된다. ② PBS-1에서 손을 떼어도 회로는 자기유지 되어 전동기는 계속 정회전하며, GL은 계속 점등되게 된다. ③ 역회전을 시키기 위하여 PBS-3을 OFF하여 전동기를 정지시킨 다음 PBS-2를 ON하여야 한다. PBS-3을 OFF하고, PBS-2를 ON하면 전동기는 역회전하며, RL램프가 점등하게 된다. 이 때에도 누름버튼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회로는 자기유지되어 계속 역회전하며, RL램프도 계속 점등된다. ④ 정회전시에는 역회전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반대로 역회전 시에도 정회전이 되지 않아야 한다. ⑤ 전동기가 과부하되어 과전류가 흐를 때 THR이 동작되어 회로를 차단시키며, 전동기를 멈추게 된다. |
|
![]() |
문제 | 해설 |
1. 열동형 과전류차단기 THR과 그의 접점(b접점)을 회로도에 그려 넣어라. | ![]() 1. 조건 ⑤ → THR-b 2. 주회로부분 : F-MC 정전, R-MC 역전 3. 조건 ④ → R-MC-b, F-MC-b ①, ②, ③ : 자기유지 R-MC-a, F-MC-a |
2. 정전, 역전이 가능하도록 주회로 부분의 R-MC의 주접점을 그려라. | |
3. 보조회로에 F-MC의 보조접점과 R-MC의 보조접점을 그려서 동작조건이 만족되도록 미완성 회로를 완성하여라. |
12번 –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여라. |
문제 | 해설 |
1. ZCT의 우리말 명칭 및 그 역할을 써라. ① 우리말 명칭 : ② 역할 : |
1. ① 영상변류기 (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②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한다. |
2. 1급 누전경보기와 2급 누전경보기를 구분하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는 몇 [A]인가? | 2. 60[A]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면 1급 누전경보기를, 경계전로의 전격전류가 60A이하이면 1급 또는 2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다. |
3.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 ( ) 및 15A 이하의 ( )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것)를 설치할 것 | 3.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것)를 설치할 것 |
13번 – 비상방송설비 설치기준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작성하여라. |
문제 | 해설 |
1.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 )] 이상일 것 | 1.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W)] 이상일 것 |
2.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고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 2.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고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
3.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 )의 높이에 설치할 것 | 3.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
4.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 )으로 하여야 한다. | 4.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하여야 한다. |
14번 –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의 공칭감시거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의 공칭감시거리에 대하여 작성하여라. |
문제 | 해설 |
분리형의 경우 공칭감시거리는 ( ) 이상 ( ) 이하로 하며 ( ) 간격으로 한다. | 분리형의 경우 공칭감시거리는 (5m)이상 (100m)이하로 하며 (5m)간격으로 한다. |
15번 – 감시전류, 동작전류 구하기
P형 1급 수신기와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 종단저항은 11kΩ, 릴레이 저항은 550Ω, 배선회로의 저항은 50Ω, 회로전압은 24V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문제 | 해설 |
1. 감시상태시 감시전류는 몇 ㎃인가? | 1. 감시전류 [], 종단저항 Re [Ω], 릴레이저항 Rl [Ω], 배선회로저항Rr[Ω], 회로전압 V[V] 24 / (11000+550+50) * 1000 = 2.069 [mA] |
2. 감지기가 동작할 때의 전류는 몇 ㎃인가?(단, 감지기의 동작시 배선저항은 무시한다.) | 2. 24 / 550 *1000 = 43.636 [mA] |
16번 – 점멸기 설치 유도등의 점등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유도등은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항상 점등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외부광(光)에 따라 피난구 또는 피난방향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등의 장소로서 3선식 배선에 따라 상시 충전되는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한 경우, 유도등이 점등되어야 하는 사항 5가지를 써라. |
문제 | 해설 | ||||||||
① ② ③ ④ ⑤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②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③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 ④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수동으로 점등하는 때 ⑤ 자동소화설비가 작동되는 때 |
반응형
'자격증 공부하기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0~18번) (0) | 2025.03.28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9번) (0) | 2025.03.26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 (0) | 2025.03.23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2회 기출문제풀이 (10~13번) (0) | 2025.03.22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2회 기출문제풀이 (1~9번)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