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바로가기
01번 – 누전경보기의 용어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누전경보기의 용어 정의를 설명에 대하여 빈칸을 채워라. |
문제 | 해설 |
1. ( )란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 1. (누전경보기)란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
2. ( )란 변류기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차단기구를 갖는 것을 포함)을 말한다. | 2. (수신부)란 변류기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차단기구를 갖는 것을 포함)을 말한다. |
3. ( )란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 3. (변류기)란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
02번 – 감지기 설치기준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감지기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여라. |
문제 | 해설 |
1. 감지기차동식 분포형 제외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몇 [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는가? | 1. 1.5 m |
2.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몇℃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2. 20도 |
3. 스포트형 감지기의 설치경사는 몇 도 이상이면 안 되는가? | 3. 45도 |
4. 주방 및 보일러실 등의 다량의 화기를 단속적으로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감지기는 무엇인가? | 4. 정온식 감지기 |
03번 – 옥내소화전설비의 전원 및 비상전원 설치기준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전원 및 비상전원 설치기준에 대하여 빈칸을 채워라. |
문제 | 해설 |
1. 비상전원은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 )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 1. 비상전원은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
2.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 )을 설치하여야 한다. | 2.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
3. 상용전원이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 )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 배선으로 하여야 한다. | 3. 상용전원이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 배선으로 하여야 한다. |
04번 – 접지공사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3가지 쓰고 그 중 내구성이 가장 양호한 방법을 써라. |
문제 | 해설 |
1. 접지봉과 접지선의 연결방법 ① ② ③ |
1. ① 융용접속 ② 납땜접속 ③ 전극접지용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접속 |
2. 내구성이 가장 양호한 방법 | 2. 융용접속 |
05번 –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에 대하여 다음 내용을 작성하여라. |
문제 | 해설 |
① 전원회로종류 : ② 전원회로전압 : ③ 공급용량 : |
① 단상교류 ② 220 V ③ 1.5 ㎸A 이상 |
06번 –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와 관련하여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를 작성하여라. |
문제 | 해설 |
1.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 1. P형 수신기 ※ 공통신호 |
2.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 하여 주는 것 |
2. R형 수신기 ※ 고유신호 |
3. 감지기‧발신기 또는 전기적 접점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의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 | 3. 중계기 |
4.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점멸형태의 시각경보를 하는 것 | 4. 시각경보장치 |
5. 감지기 또는 발신기 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 ‧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이하 “제어기능”이라 한다.) 것 | 5. Ρ형 복합식 수신기 |
6. 감지기 또는 발신기 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 | 6. R형 복합식 수신기 |
7. 화재발생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 | 7. 발신기 |
8. 화재시 발생하는 열연기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 | 8. 수신기 |
9.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 | 9. 경계구역 |
07번 – 급‧배기 댐퍼
전실 급‧배기 댐퍼를 나타낸 도면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댐퍼는 모터식, 복구는 자동복구, 전원은 제연설비반에서 공급하고, 수동기동확인 및 기동은 동시에 기동하되 감지기공통은 전원(-)와 공용으로 사용하는 조건이다. | |
![]() |
문제 | 해설 |
1. E, S, S 심볼은 무엇을 나타내는지 써라.![]() |
1.![]() |
2. ① ~ ③의 전선의 가닥수를 작성하여라. ① ② ③ |
2. ① 4가닥 : 전원(+),(-), 댐퍼기동, 배기확인 ② 4가닥 : (전원(-), 회로) × 2 ③ 7가닥 : 전원(+),(-), 회로, 댐퍼기동, 배기확인, 급기확인, 수동기동확인 |
3. 댐퍼 수동조작함의 설치높이에 대한 기준을 작성하여라. | 3.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이어야 한다. |
08번 – 비상콘센트 보호함 설치기준
비상콘센트를 보호하기 위한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빈칸을 채워라. |
문제 | 해설 |
1.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 )를 설치할 것 | 1.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할 것 |
2. 보호함 ( )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2. 보호함 (표면)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3. 보호함 상부에 ( )색의 ( )을 설치할 것. 다만, 비상콘센트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 )등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 3.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할 것. 다만, 비상콘센트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소화전함) 등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
09번 –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
11층 이상인 건물의 소방대상물에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비의 종류 3가지를 써라. |
문제 | 해설 |
① ② ③ |
① 자가발전설비 ② 축전지설비 ③ 전기저장장치 |
▽ ▼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0~18번 보러가기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0~18번)
문제 바로가기▽ ▼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9번 보러가기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9번)문제 바로가기01번 – 누전경보기의 용어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
ybgray.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공부하기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9년 2회 기출문제풀이 (1~9번) (0) | 2025.03.29 |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9년 1회 기출문제풀이 (10~18번) (0) | 2025.03.28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4회 기출문제풀이 (10~16번) (1) | 2025.03.25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4회 기출문제풀이 (1~9번) (0) | 2025.03.23 |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2018년 2회 기출문제풀이 (10~13번)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