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바로가기
01번 – (가) 시대의 사회 모습 고르기
단양 수양개 유적에서 출토된 슴베찌르개는 주먹도끼와 함께 (가)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 중 하나이다. 이 유적에서는 슴베찌르개와 함께 돌날과 몸돌 등의 뗀석기도 출토되었다. |
문제 | 해설 |
①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① 정답 – 구석기 * 뗀석기 : 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개 * 채집, 수렵, 가죽옷, 이동생활(동굴이나 막집 생활) * 무리사회, 평등사회 * 연천군 전곡리 뗀석기, 공주 석장리, 단양 금굴, 청원 두루봉 동굴(흥수 아이) |
②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았다. | ② 신석기 * 가락바퀴(실), 뼈바늘, 간석기(갈돌, 갈판) * 이른 민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 식량저장 * 채집, 수렵, 농사(밭) * 부족사회, 평등사회, 농경사회 |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역하였다. | ③ 철기 시대 * 명도전, 반량전 : 중국과 교역 * 철제 농기구 (농사) : 쟁기, 쇠스랑 * 연맹왕국 * 철제무기 : 세형동검, 거푸집, 정복활동 |
④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 ④ 철기 시대 * 명도전, 반량전 : 중국과 교역 * 철제 농기구 (농사) : 쟁기, 쇠스랑 * 연맹왕국 * 철제무기 : 세형동검, 거푸집, 정복활동 |
⑤ 의례 도구로 청동 방울 등을 제작하였다. | ⑤ 철기, 청동기 * 청동 방울 |
02번 – (가) 나라에 대한 설명 고르기
고구려와 백제의 기원, (가) 나라 우리 연구소에서는 고구려와 백제의 왕족이 자신들의 기원으로 삼았던 (가) 나라를 주제로 한 역사 강좌를 3차에 걸쳐 마련하였습니다. 고대사에 관심있는 시민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강좌 내용 : 쑹화강 유역의 자연환경과 경제생활, 사출도를 통해 본 연맹왕국의 구조, 1책 12법으로 알아보는 형별제도 |
문제 | 해설 |
① 신성 구역인 소도를 두었다. | ① 삼한 * 소도 : 신성지역 (“삼소”) * 신지, 읍차 : 지배자 * 낙랑과 왜에 철 수출 : 가야, 변한 |
②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② 정답 – 부여 * 제천행사 : 영고 (“부영고”) * (“부사장형”) : 사출도, 순장, 형사취수제 * 1책 12법, 반농반목, 5부족 연맹 국가 |
③ 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③ 옥저 * 민며느리제 (↔ 서옥제 : 고구려) (“서고민옥”) |
④ 부족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④ 동예 * (“동화책”) 책화 : 읍락 간 경계 중시 * 천행사 : 무천 * 특산물 :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 * 족외혼 * 집터 : 여(呂)자형, 철(凸)자형 |
⑤ 목지국을 비롯한 많은 소국으로 이루어졌다. | ⑤ 마한 |
03번 – 시대 순서대로 나열하기
문제 | 해설 |
(가) 비유왕과 눌지왕이 동맹을 체결하였다. | (가) 비유왕-백제, 눌지왕-신라 : 나제동맹 (433년) |
(나) 근초고왕이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 (나) 근초고왕-백제, 평양성-고구려, 고구려의 고국원왕 전사 (371년) |
(다) 광개토대왕이 5만의 군대를 보내 신라를 지원하였다. | (다) 광개토대왕의 신라 지원 → 금관가야 쇠퇴 (400년) |
정답 : (나) → (다) → (가) |
04번 - <왕>의 재위 시기에 발생한 사실 고르기
(가) 「삼국유사」 <왕>이 다시 명령을 내려 좋은 가문 출신이 남자로서 덕행이 있는 자를 뽑아 명칭을 고쳐서 화랑이라고 하였다. 처음으로 설원랑을 받들어 국선으로 삼으니, 이것이 화랑 국선의 시초이다. (나) 「삼국사기」 <왕>이 이찬 이사부에게 명령하여 가라국을 습격하게 하였다. 이때 사다함은 나이가 15~16세였는데 종군하기를 청하였다. 그 나라 사람들은 뜻하지 않은 병사들의 습격에 놀라 막아내지 못하였다. 대군이 승세를 타서 마침내 그 나라를 멸망시켰다. |
진흥왕 (신라) * 설원량을 받들어 국선으로 삼은 것이 화랑 국선의 시초이다. * 대가야 정복 : 이사부(태종), 화랑 사다함 ※ 가라국 : 가야 * 거칠부가 [국사] 편찬 : 이사부의 건의 (545년) * 관산성 전투 : 백제VS신라 – 백제 성왕 전사, 나제동맹 결렬 * 대가야 병합, 화랑도 창설 및 개편 (562년) * 진흥왕 순수비 (568년) (가) 「삼국유사」 참고 - 고려 충렬왕 시기, 1281년에 승려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 (나) 「삼국사기」참고 - 고려 인종 시기, 1145년에 김부식 등이 완성한 삼국시대사 |
문제 | 해설 |
①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 ① 정답 – 진흥왕(신라) * 거칠부가 [국사] 편찬 : 이사부의 건의 (545년) * 관산성 전투 : 백제VS신라 – 백제 성왕 전사, 나제동맹 결렬 * 대가야 병합, 화랑도 창설 및 개편 (562년) * 진흥왕 순수비 (568년) |
② 김헌창이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 ② 김헌창의 난 – 통일신라 후기 |
③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 ③ 법흥왕(신라) (514~540년) * 금관가야 병합 * 이차돈의 순교 – 불교 공인 * 건원 – 신라 최초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 |
④ 최고 지배자의 호칭이 마립간으로 바뀌었다. | ④ 내물마립간(신라) (356~402년) |
⑤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되었다. | ⑤ 선덕여왕(신라) (632~647년) *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 * 김유신 비담과 염종의 반란 * 경주 부황사 모전석탑, 첨성대, 황룡사 구층 목탑 |
05번 – 설명에 해당하는 문화유산
국보 제 287호로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백제 왕실의 의례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도교와 불교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표현되어있다. |
문제 | 해설 |
① ![]() |
① 정답 – 금동대향로(백제) *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 * 백제 왕실의 의례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 * 도교와 불교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표현 |
② ![]() |
② 도기기마 인물형 뿔잔(가야) |
③ ![]() |
③ 무령왕릉석수(백제) |
④ ![]() |
④ 돌사자상(발해) |
⑤ ![]() |
⑤ 금관(신라) |
06번 – (가) 국가에 대한 설명 고르기
(가) 국가의 무왕이 일본에 보낸 국서 속일본기에 “(가)국가의 왕 대무예가 고인의 등을 보내어 국서와 선물을 보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역사」 - 고인의, 덕주, 사나루 등 24명에게 서신을 가지고 가도록 하였고, 아울러 담비 가죽 300장을 정중히 보냅니다. 때때로 소식을 보내 우의를 두텁게 하고자 합니다. |
문제 | 해설 |
①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① 백제 – 무령왕 * 지방 22담로 –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 통제 * 중국 남조, 일본과 교류 – 무령왕릉(벽돌무덤) |
② 교육 기관으로 태학과 경당을 두었다. | ② 고구려 * 교육기관 : 태학(소수림왕 설립), 경당 |
③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다. | ③ 신라 * 골품제 |
④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 ④ 신라 – 신문왕 * 화백회의 – 상대등 * 6두품 세력 강화, 상대등 세력 약화 * 집사부 시중 기능 강화 – 왕명, 기밀사무 *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녹읍 : 노동력 징발 권한) * 9서당 10정, 지방 9주 5소경, 국학설립(유학교육) |
⑤ 거란도, 영주도 등을 통해 주변 국가와 교류하였다. | ⑤ 정답 – 발해 * 무왕(발해) – 인안(연호), 장문휴(당나라의 산둥반도 공격, 흑수말갈), 당나라와 신라 견제 * 문왕(발해) – 대흥(연호), 상경 천도, 당 친선, 3성 6부(당 제도 수용), 신라도(신라와 교류) * 선왕(발해) – 건흥(연호), 요동 진출, 해동성국, 지방 5경 15부 62주 |
07번 – (가)와 (나) 사이에 있었던 일
(가) 백제가 대야성을 함락하자 김춘추의 딸 고타소랑이 남편 김품석을 따라 죽었다. 김춘추는 이에 한을 품고 고구려에 군사를 청하여 백제에 그 원한을 갚고자 하니, 왕이 허락하였다. (나) 김유신 등이 황산 벌판으로 진군하자 백제의 장군 계백이 군사를 거느리고 먼저 험한 곳을 차지하여 세 군데에 진영을 설치하고 기다렸다. 김유신 등은 군사를 세 길로 나누어 네번을 싸웠으나 전세는 불리하고 병사들은 힘이 다하였다. |
의자왕 시기(백제) (가) (642) 대야성 전투(신라 공격), 대야성 함락(윤충) → 나당연합 → 백제공격 → (나) (660) 황산벌 전투(계백 전사), 사비(부여)성 함락 → 의자왕 항복 → 백제 멸망 (660) |
문제 | 해설 |
① 안승이 보덕국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 ① 고구려 부흥운동(670)년 이후 안승을 금마저에 안치하였다가 보덕국의 왕으로 책봉(674년) |
② 신라가 당과 군사동맹을 체결하였다. | ② 정답 – 나당연합 |
③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 ③ 살수대첩 (612년) * 수가 고구려를 재공격하여 을지문덕이 수를 격파 * 영양왕(고구려) 시기 |
④ 신라군이 기벌포에서 적군을 격파하였다. | ④ 기벌포 매소성 전투 (676년) * 신라VS당 (신라 승리)→ 신라의 삼국통일 → 통인신라 * 매소성 전투(675년) * 문무왕(신라) 시기 |
⑤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 ⑤ 백제 부흥운동 (660년) 이후 *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 * 흥치상지 |
08번 – 지도와 같은 지방행정구역을 마련한 국가의 통치 제도
![]() |
통일신라 * 지방 9주 5소경 * 9서당 10정 * 상수리제도 * 관료전, 녹읍, 정전 * 청해진, 삼대목 태학감 * 사정부 : 관리 감찰 |
문제 | 해설 |
① 중앙군을 2군 6위로 조직했다. | ① 고려 * 중앙군 : 2군 6위 * 도병마사, 국자감, 경시서, 공음전, 벽란도, 정당성, 정방 |
② 지방관으로 안찰사를 파견했다. | ② 고려 * 지방관 : 안찰사 (↔ 관찰사 : 조선) |
③ 중앙 관제를 3성 6부로 정비했다. | ③ 발해 * 중앙 관제 : 3성 6부 * 중앙군 10위 * 지방 5경 15부 62주 * 주자감(교육기관), 문적원, 중정대 |
④ 관리 감찰을 위해 사정부를 두었다. | ④ 정답 – 통일신라 * 사정부 : 관리 감찰 |
⑤ 유학교육기관으로 주자감을 설치했다. | ⑤ 발해 * 주자감(교육기관), 문적원, 중정대 * 중앙 관제 : 3성 6부 * 중앙군 10위 * 지방 5경 15부 62주 |
09번 – (가) 인물에 대한 설명
(가) 는 설총을 낳은 이후 속인의 옷으로 바꾸어 입고 스스로 소설거사라고 했다. 우연히 광대들은 가지고 놀던 큰 박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괴이했다. 그 모양을 따라서 도구로 만들어 화엄경의 구절에서 이름을 따와 무애라고 하고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트렸다. |
문제 | 해설 |
① 부석사를 창건했다. | ① 의상 (“의상부화관”) * 부석사, 화엄사상, 관음사상 |
② 백련결사를 주도했다. | ② 요새 * 백련결사, 법화신앙 |
③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 ③ 혜초 * 왕오천축국전, 인도와 중앙아시아 여행 |
④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했다. | ④ 정답 – 원효 (“원효무십아대”) * 무애가, 십문화쟁론, 아미타신앙, 대승불교 * 금강삼매경론 |
⑤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했다. | ⑤ 의천 (“의천교관화폐”) * 천태종, [교장], 교관겸수, 화폐유통주장 |
10번 – (가) 국가에 대한 설명
박물관에서는 전주 동고산성 발굴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 동고산성에서는 ‘전주성’명 수막새 등 견훤이 세운 (가) 국가와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후당, 오월과 교류한 (가) 국가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 후백제 * 견훤이 완산주(전주)에 건국 (↔ 궁예가 송악(개성)에 건국 : 후고구려) * 후당과 오월에 사신 파견 |
문제 | 해설 |
① 광평성 등의 정치 기구를 뒀다. | ① 후고구려 * 궁예가 송악(개성)에 건국 * 국호 마진, 철원 천도 * 광평성 설치, 9관등제 |
② 공산전투에서 고려군에게 대승을 거뒀다.. | ② 정답 – 후백제 * 공산전투(927) : 견훤(후백제) VS 태조 왕건(고려) |
③ 인안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 | ③ 무왕(발해) * 인안(연호), 장문휴(당나라의 산둥반도 공격, 흑수말갈), 당나라와 신라 견제 |
④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무역을 전개했다. | ④ 통일신라 * 청해진 : 해상무역, 장보고, 법화원 |
⑤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천도했다. | ⑤ 후고구려 * 궁예가 송악(개성)에 건국 * 국호 마진, 철원 천도 * 광평성 설치, 9관등제 |
▽ 11번 부터 보러가기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심화 47회 11번~20번 해설
문제 바로가기 11번 –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 고르기왕 : “훈요 10조를 지어 후세에 전하니, 밤낮으로 펼쳐보아 영구히 귀감으로 삼도록 하라.”→ (가) →최승로 : “신 최승로, 시무 28조를
ybgray.tistory.com
반응형
'자격증 공부하기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심화 48회 01번~10번 해설 (0) | 2025.02.16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심화 47회 41번~50번 해설 (3) | 2025.01.05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심화 47회 31번~40번 해설 (0) | 2025.01.04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심화 47회 21번~30번 해설 (3) | 2025.01.03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심화 47회 11번~20번 해설 (3) | 2025.01.02 |